연산자

- 산술 연산자 : + , - , * ,  / , % , **(거듭제곱)

- 비교연산자 : > , >= , < , <= , ==(같다) , !=(같지 않다)

변수

- 첫 번쨰 문자에 숫자를 사용하지 않는다.

- 예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.

변수명 = 값

데이터형

데이터를 프로그램에 전달해도 그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이지 프로그램에게 알려 주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알지 못한다.

수치형

숫자를 다루는 데이터형, 수치형 데이터끼리는 연산이 가능하다.

-정수(int), 부동소수점(소수)(float, double), 복소수(complex)

파이썬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다르게 선언시 자료형을 붙여줄 필요가 없다. 변수명 = 값 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해당 변수의 자료형을 결정한다.

num1 = 1  # int형 변수 선언 및 초기화
num2 = 4.3  # float형 변수 선언 및 초기화
complex = 5 + 5j  #complex형 변수 선언 및 초기화

문자열형

문자열을 다루는 데이터형. 작은따옴표(')큰따옴표(")로 둘러싸서 문자열형을 지정할 수 있다.

message = "sejun" # 큰 따옴표를 이용해 message 문자열형 변수 지정
message
->sejun

'''    #'''를 이용해 복수행의 문자열을 만들 수 있다
sun
mon
thu
'''

 문자열형에 산술연산자 + 를 이용해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다. *를 이용하면 원하는 만큼 반복할 수 있다.

※ uppper(), lower() 을 이용해 대소문자를 바꿀 수 있다. count()를 이용해 문자의 개수도 샐 수 있다.

논리형

bool형 으로 값은 True , False 밖에 없다.

리스트형

복수의 데이터를 하나로 묶을 수 있다. 묶고 싶은 데이터를 ,로 구분해 [] 안에 넣으면 된다.

[데이터1, 데이터2, 데이터3 ....]

groupA = [a,b,c] # 그룹 A 생성
groupA.append('d') # append()를 사용해 그룹에 추가할 수 있다.
groupA.remove('b') # remove()를 사용해 그룹에서 제거할 수 있다.
groupA.sort() # sort()를 사용해 알파벳 순으로 정렬도 가능하다. sort()를 사용할 때는 동일한 데이터형을 담아야 한다.

사전형

리스트와 비슷하지만 색인(key)내용(value)이 하나의 쌍으로 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.

{색인1:데이터1 , 색인2:데이터2, ...}

key() 메소드를 통해 키를 모두 볼 수 있다.

value() 메소드로 데이터를 모두 모아 볼 수 있다.

튜플형

복수의 요소로 구성된 하나의 그룹을 뜻한다. 요소들을 ,로 구분하고 ()로 감싼것이다.

(요소1, 요소2, 요소3 ....)

튜플형의 가장 큰 특징은 한번 만든 후 바꿀 수 없다. 이러한 특성 때문에 튜플형은 사전의 key로 쓰인다. 왜냐하면 사전의 key는 변경할 수 없는 데이터형만 등록할 수 있기 때문이다.

집합형

리스트형이나 튜플형처럼 복수의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다루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형이다.

{'데이터1', '데이터2', '데이터3', ...}

set() : 집합형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.

update() :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.

집합형 데이터 형의 특징중 하나인 '동일한 데이터를 가지지 않는다'는 성질을 활용해 리스트형 데이터를 집합형 데이터로 변환해 리스트에 중복되는 데이터를 없앨 수 있다. 두번째 특징은 '복수 데이터 간의 계산'인데, 집합형들 간의 교집합 차집합을 쉽게 구할 수 있다.

A<=B(A가 B의 부분집합인지 검사.) 

A>=B(B가 A의 부분집합인지 검사.

A|B(A와B의 합집합 데이터를 가진 새로운 집합형 변수 생성.) 

A&B(A와B의 교집합 데이터를 가진 새로운 집합형 변수 생성.

A-B(A와 B의 차집합 데이터를 가진 새로운 집합형 변수 생성.) 

A^B(A와 B중 한 쪽밖에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를 가진 새로운 집합형 변수 생성.)

'프로그래밍 공부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ython] 5. 파이썬의 기본(5)  (0) 2020.01.29
[Python] 4. 파이썬의 기본(4)  (0) 2020.01.18
[Python] 3. 파이썬의 기본(3)  (0) 2020.01.14
[Python] 2. 파이썬의 기본(2)  (0) 2020.01.12

자바에서 반복문은 for 문 , while 문, do-while 문 세 가지뿐이다. 

for 문

반복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문법이다.

for (초기문 ; 조건식 ; 반복후 작업){
	..작업문..
}

1. 초기문 : 초기문에서는 대개 for 문의 조건식에서 사용하는 변수를 초기화 한다.

  • 초기문은 시작할 때 한번만 수행된다.
  • 콤마(,)로 분리하여 여러 문장을 나열할 수 있다.
  • 초기문을 빈 상태로 두어도 된다.

2. 조건식 : 논리형 변수나 논리 연산만을 사용할 수 있다. true를 적으면 무한 반복(infinity loop)한다.

3. 반복 후 작업 : for 문 내의 작업문이 실행된 후 반복 후 작업문이 실행된다.

4. 작업문 : for 문이 반복되는 동안 수행된다.

while 문

조건식이 ture라면 무한이 반복되는 반복문

while(조건식){
	..작업문..
}

1. 조건식 : for문의 조건식과 동일. true일 경우 반복이 계속되며 false일 경우 반복을 종료하고 while 문을 벗어난다.

              초기문과 반복후 작업문이 없기 때문에 조석식에 사용되는 변수는 while문 전에 선언과 초기화가 되어있어                  야 한다.

do-while 문

while 문과 달리 반드시 작업문이 한번은 실행 되는 반복문

do{
	..작업문..
} while (조건식);

1. 조건식 : 조건식의 변수는 while문과 마찬가지로 선언과 초기화가 되어있어야한다. do -while 문의 가장 큰 특징은 반드시 최초 한번은 실행 되는다는것에 있다.

continue 문과 break 문

continue : 반복문을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반복문 내의 작업문을 건너뛸때 사용한다. 그 자체가 하나의 문장이다.

for 문에서는 반복 후 작업으로 분기하고 while 이나 do while문에서는 조건식을 검사하는 과정으로 분기한다.

break : 즉시 반복문을 빠져나갈 때 사용한다.

3. 키보드에서 정수로 된 돈의 액수를 입력받아 오만 원권, 만 원권, 천 원권, 500원짜리 동전 10원짜리 동전 50원짜리 동전. 1원짜리 동전 각 몇개로 변환 되느지 출력하라. 예를들어 65370이 입력되면 오만 원권 1, 만 원권 1, 천 원권 5100원짜리 동전 3, 50원짜리 동전 1, 10원짜리 동전 2개이다.

2. 키보드로 입력받은 주민번호에서 문자열을 '-' 으로 분리하여 주민번호 압자리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. 구분 문자를 설정할 때에는 Scanner 클래스의 use Dlimiter()메소드를 사용하라.

 

+ Recent posts